산림과학원,, 재선충 피해목, 목재 자원화 길 열린다!

입력 2014년03월14일 21시14분 사회부
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

[여성종합뉴스] 국립산림과학원(원장 윤영균)은 "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매개충과 재선충의 소독이 필요하다"며 "수출입용 컨테이너를 활용해 안전하고 쉽게 피해목을 대량으로 훈증소독 할 수 있어 목재자원으로 활용 가능하다"고 14일 밝혔다.

소나무재선충병  피해목은 확산방지를 위해 전량 소각·파쇄를 원칙으로 하여 자원으로써의 활용에는 주목하지 못했다.

그 동안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은 벌채 후 현장에서 훈증약제 처리 후 그대로 산 속에 방치되어, 이들 목재는 산림경관 및 산림관리에 일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.

컨테이너는 길이 6m, 20∼40㎥까지의 원목을 집재하여 나무의 굵기가 20㎝이상의 중·대경목을 대량 훈증소독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또한 사용되는 마그네슘포스파이드 판상훈증제는 이용이 간편하고 처리 1주일 후 매개충과 재선충을 100% 죽게 해 매우 효과적이다.

특히 컨테이너는 이동성이 좋아 기존에 산 속에 버려지던 피해목을 자원화 할 수 있는 길을 열게 된 것이다. 이렇게 소독된 피해목은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해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.

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장 정영진 박사는 "대량훈증 소독 방법을 일선 시·군·구 방제 현장에 즉시 보급하겠다"며 "국민들이 땀 흘려 가꾸어온 자원이 아깝게 버려지는 안타까움을 함께 해소하겠다"고 강조했다.

앞으로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러한 대량훈증처리를 다음 주부터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인 제주지역부터 시범적으로 현장 적용을 할 계획이다.

아울러 산림자원의 재활용은 목재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로 정부 3.0 정책에 물꼬를 터 관련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, 수입 원목을 대체할 수 있는 직간접인 효과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.

무통장입금 정보입력
입금할 금액은 입니다. (입금하실 입금자명 +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)

연예가 화제

동영상뉴스

포토뉴스

독자기고

민일녀
백수현
조용형